인도의 고전무용 오디시는 인도 동북부에 위치한 오리사(Odisha)주의 고대 힌두사원에서 발원한 춤으로, 신을 찬양하기 위해 춤을 추던 신전 무희들의 오랜 전통을 이어받았다. 직선적 움직임을 갖는 여타의 인도고전무용과는 달리, 오디시는 물이 흘러가듯 부드럽고 우아한 ‘곡선미’ 그리고 고대 사원에 새겨진 조각상들의 감각적인 ‘조형미’가 특징이며, 인도의 신화를 그 내용으로 삼는다.
한국인 유일의 오디시 무용수 금빛나
이번 공연은, 한국인으로서 유일한 오디시 전수자 금빛나씨의 단독무대로 이루어진다. 오디시의 메카 부버네슈어러(Bhubaneswar)에서 공식적인 인도고전무용수로서 성공적인 데뷔 무대를 가진 그는, 인도의 전통 가무악을 겸비하고, 현지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며, 인도인의 감수성을 빼어나게 표현한다는 찬사를 받았다. 총 네 작품, 한 시간 러닝타임의 <인도의 사랑과 신화>는 인도 신화 속에 나타나는 전통적 인도 여인의 사랑과 미학에 대해 이야기한다. 춤과 더불어 흥미롭고 진지한 설명이 한글과 영문으로 곁들여질 것이다.
프로그램
1. 서러스워띠 번더나 Saraswati Vandana
예술과 학문의 여신 서러스워띠(Saraswati)를 비롯하여 여러 신들, 스승들, 관객들에게 정중한 합장의 예를 올리며 공연의 시작을 알리는 헌신의 춤.
2. 사베리 뻘러비 Saveri Pallavi
인도 특유의 단조(短調)에 맞추어 인도 여인이 기지개를 펴는 모습, 코끼리처럼 풍만한 엉덩이를 흔들며 걸어가는 모습, 우거진 나뭇가지를 위로 치켜 올리는 모습, 화장대 앞에 앉아서 귀걸이와 목걸이를 차는 모습 등 전통적인 인도 여인의 생활과 미학을 다각적으로 보여주는 작품.
3. 자아나 니꾼제 자아나 Jaana Nikunje Jaana
인도의 전설적인 시집 기떠 고빈덤 (Gita Govindam)의 주인공이자 인도의 대표적인 연인인 라다와 크리슈나의 사랑 이야기를 그린 작품.
4. 목셔 Mokshya
인도인들의 인생의 염원이자 목표인 해탈을 그린 해탈춤.
Odissi, one of the 8 classical dances of India, derives from ancient Hindu temples of Odisha located in the northeast of India. It is especially characterized by graceful movements and sensual postures and describes the Indian Myths.
<Myth and Love in Indian Classical Dance> will be presented by Beena Keum who is the only one Korean Odissi dancer and had a successful Mancha Prabesha (Official Debut Stage as an Indian Classical Dancer) in Bhubaneswar, the mecca of Odissi. Four items constitute one hour of running time, and detailed explanations will follow in Korean and English.
Program
1. Mangalacharana (Saraswati Vandana)
The dance of devotion. An offering to god & goddess for an auspicious dance recital.
2. Pallavi (Saveri)
This dance, especially focused on tune and rhythm, blossoms like a bud from slow, delicate, contained movements to a full bloom of fast, intricate and joyful movements.
3. Abhinaya (Jaana Nikhunje Jaana)
The dancer enacts the character of the heroine Radha's friend scolding the hero Krishna for coming late to their secret tryst.
4. Mokshya (Bhada)
In this dance of salvation, the individual soul merges with the divine just as a doll made of salt dissolves in the great ocean.
Beena Keum
Beena Keum first developed a fascination for Hindu philosophy and Buddhism while studying at Sogang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where she majored in French literature, comparative religious studies and philosophy. One day, while watching an Indian film, she was mesmerized by a short Indian dance sequence and was motivated to learn the dance herself. She searched for the name of the dance for several years, but in vain. At last, while studying in Colombo, Sri Lanka, she found out that the dance from the film was called Odissi! Within a week she had left for India carrying just one bag and three pieces of pap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contact addresses of Odissi Gurus.
Since April 2005, she has been living in Bhubaneswar, and has taken classes from Great Master Padmashree Guru Gangadhar Pradhan and his four disciples. In addition to Odissi dance, she has also been continuously practicing Odissi Song, Mardala (Odissi drum), Sanskrit and Oriya language in order to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Odissi. She has made up her mind to settle down in Orissa because, for Beena, Korea is her fatherland and India her motherland.